- 해보고싶은 기술, 안써본 기술 위주로 해도 괜찮다고 함,, 어쩌피 배우는 단계라
- @Postmapping과 @RequestMapping .POST의 성능차이
- Get, Post, Put, PatchMapping이 최신버전! →Restful해진 것
- JSON으로 받는 방법
- @RequestBody
- 성공, 실패, 필요data 각자 따로 보내도 됨
- ResultVO(code, message, data) →이게 좀더 프론트에서 받기 편하지 않을까?
- 받는 데이터 형식(JSON, Form-data)에 따른 성능차이
- 사진파일도 json으로 받아야 하는지
- @RequestParam MultipartFile → ContentType: multipart/form-data
- aws s3 쓰기
- 구글 url따서 DB에 넣기(대충 빠르게)
- 리다이렉트 하는 방법
- Enitity, VO, DTO 개념
- DTO: ResponseDTO, RequestDTO 데이터
- DTO에 Entity가 있으면 안됨: Enitity는 절대 클라이언트에게 노출X
- responseDTO의 경우 @Setter를 쓰지않고, 생성자를 통해 값을 할당
- DTO가 많기때문에
- Controller하나에 쓰이면 내부에 생성
- 관련 도메인끼리 묶어서 클래스 하나에 여러개 생성